산업 보기

EU 탄소배출 규제 강화, 풍력, 태양광, 수소 기업엔 수혜, 제조업 근간 한국 경제에는 리스크

rockfish 2022. 12. 20. 19:46
반응형

유럽연합의 탄소배출 규제 강화로 이른바 '그린기업'에는 수혜가 커지지만 국내 경제 전반에 미치는 리스크는 커질 것으로 보입니다. 

 

유진투자증권은 20일 보고서에서 " RE100과 EU의 탄소국경조정세는 수출 주도형 제조업이 근간인 대한민국 경제에는 치명적 리스크"라고 평가했습니다. 

 

러시아/중국, 미국/EU의 대립에 따른 신냉전 체제로의 이행까지 겹쳐져서 자국 산업을 보호하고 육성하려는 수단으로 그린장벽이 세워지고 있다고도 했습니다. 

 

이런 추세에 따라 저탄소 사회로 산업구조를 전환시키지 못하면 국내에 있는 제조업들은 경쟁력을 잃을 수도 있습니다. 

 

이 때문에 재생에너지 설치량을 최대한 늘리고 이를 이용한 그린수소 생태계를 빠르게 확보해야 하는 과제를 안게 됐습니다. 

 

유진투자증권은 "국내 그린 기업들은 대박, 여타 제조업들은 그린장벽을 극복해야 하는 숙제를 안게 됐다"고 보고 있습니다. 

 

수혜를 볼 만한 그린 기업으로는 풍력/태양광 분야에서 씨에스윈드, 삼강엠앤티, 동국S&C, 유니슨, 한화솔루션, OCI, 현대에너지솔루션이 추천됐습니다. 

 

수소산업에서는 두산퓨얼셀, SK에코플랜트, 상아프론테크, 에스퓨얼셀, 일진하이솔루스, 효성첨단소재, 비나텍, 효성중공업 등이 꼽힙니다. 

 


EU는 지난 주말 탄소배출권 거래제를 대폭 강화하는 안에 대해 의회, 집행위, 이사회 3자간 합의에 이르렀습니다. 2030년까지 2005년 대비 탄소배출권 거래제 하의 탄소감축 목표를 기존 43%에서 62%로 확대하기로 했습니다. 

 

이를 위해 탄소배출권 거래제 적용 산업을 도로, 교통부문을 포함한 대부분 산업영역으로 2027년까지 확대합니다. 

 

또 EU는 최근 잠정합의를 통해 내년 10월부터 철강, 시멘트, 비료, 알루미늄, 전기, 수소에 대한 탄소국경세를 적용하기로 했습니다. 

 

당장은 배출량 보고 의무를 하고 2026년부터 조정세가 부과됩니다. 

728x90
반응형